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1. 홍지은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첫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모습이네요. '분노의 ○○○?', 빈칸은 뭔가요?<br> <br>네, 분노의 5단계 입니다. <br> <br>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1심 선고에서 예상치 못한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받았죠. <br> <br>여당에서, 민주당 상황을 퀴블러 로스의 '분노의 5단계' 이론으로 빗댔습니다. <br><br>Q2. 분노의 5단계 이론이 뭔가요? <br><br>죽음을 앞둔 인간의 감정을 이렇게 5단계로 구분하는 건데요. <br> <br>김용태 국민의힘 의원, 민주당은 현재 자기 부정, 분노 상태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<br> <br>나중에는 사법부 판단 수용할 거라고 보는 거고요. <br><br>[김용태 / 국민의힘 의원 (여랑야랑 취재)] <br>"사법부 판단을 부정하면서 이재명 대표가 마치 민주주의의 무슨 억압받는 그런 분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 같은데 김대중 전 대통령에 비유하거나 억압받는 피해자로 둔갑하거나 어쨌든 현실을 외면하고 있는…"<br><br>Q3. 억압받는 피해자인척 한다는 게 어제 집회를 이야기하는 거죠?<br> <br>네, 어제 장외 집회를 마치고 이 대표, SNS 글을 올렸는데요. <br> <br>함께 올린 사진이 의미심장했습니다. <br> <br>같이 보시면요. <br><br>이렇게 홀로 서 있는 이 대표 뒷모습이고요. <br><br>또다른 사진 보면 주먹을 불끈 쥔 손의 모습도 보입니다. <br><br>함께 올린 글을 보면 '이재명은 죽지 않는다', '끝까지 싸우자'고도 적었는데요.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어제)] <br>"이재명은 죽지 않는다. 민주주의도 죽지 않는다. 이 나라의 미래도 죽지 않는다. 여러분이 확실하게 보여주십시오."<br> <br>여권에서는 '민주주의 투사처럼 보여 지지층 결집 효과를 노리는 것 아니냐'고 보는 겁니다. <br><br>Q4. 어제 집회 이후 정치권 분위기는 어떻습니까?<br> <br>여권은 집회 별 거 없었다고 보는 분위기고요. <br><br>반면 일부 이 대표 지지자들은 민주당 당비를 올리겠다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이 대표에게 그만큼 힘을 싣겠다는 취지인 거죠.<br> <br>이 대표의 위증교사 1심 선고가 오는 25일에 예정된 만큼 여야 대치 상황, 더욱 극심해질 것 같습니다. <br><br>Q5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과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이 보이네요. 비문명과 홍매화, 어떤 관련이 있는 건가요?<br> <br>네, 최근 이슈됐던 동덕여대 사태로 이 두사람 다시 맞붙었습니다. <br><br>동덕여대 학생들이 남녀공학 전환을 반대하며 학교 건물 점거, 수업 거부 등 집단행동을 하고 있잖아요. <br><br>이준석 의원은 다른 학생의 수업권과 안전을 위협하는 "비문명"이라고 비판했습니다.<br> <br>이 의원은 2년 전 전장연 시위를 두고도 '비문명'이라고 비판한 바 있죠. <br><br>그러자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, "비문명하면 이준석"이다, "학생들은 정면으로 맞선거지 누구처럼 홍매화나 심지 않는다"며 총선을 앞두고 칠불사에서 홍매화를 심었던 이 대표를 저격했습니다. <br><br>Q6. 동덕여대 사태로 이 둘이 왜 이렇게 세게 맞붙는 거예요?<br> <br>그래서 한 번 직접 물어봤습니다. <br><br>[이준석 / 개혁신당 의원 (여랑야랑 취재)] <br>"폭력 사태가 발생했다는 것에 대해서 상당한 우려가 있는데 젠더 대결 양상으로 몰아가려는 사람들이 있어서 지적할수밖에 없었습니다. 홍매화를 주술로 몰아가는 자체가 얼마나 유치한 행동인지 대한민국 레디컬 페미니즘의 한계입니다." <br> <br>[장혜영 / 전 정의당 의원(여랑야랑 취재)] <br>"(명태균 논란 등) 정치적인 위기 상황에서 이준석 대표가 쉽게 꺼내드는 게 여성을 때리는 것이고 동덕여대 문제를 비문명이라고 거론한 것은 평소 습관이 나왔다…"<br> <br>이 두사람, 과거 젠더 이슈로도 맞붙은 적 있죠. <br> <br>[장혜영 / 당시 정의당 의원 (2021년 5월, 채널A 'MZ시대 정치를 말한다')] <br>"모든 것을 기승전젠더로 몰아가려는 의도를 저는 진짜 이해할 수 없어요." <br> <br>[이준석 / 당시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(2021년 5월, 채널A 'MZ시대 정치를 말한다')] <br>"여자라서 죽었다는 말은 있는데 남자라서 죽었다는 말은 없는..." <br> <br>[장혜영 / 당시 정의당 의원 (2021년 5월, 채널A 'MZ시대 정치를 말한다')] <br>"여자라서 죽었다는 말은 오늘 이 자리에서 이준석 위원 말고는 아무도 하고 있지 않습니다."<br> <br>동덕여대의 공학 전환 이슈는 한 대학의 존재를 재정립할 중요한 문제잖아요. <br> <br>젠더 갈등을 부추기거나,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이용하는 건 경계해야할 것 같습니다. (악용금지)<br /><br /><br />홍지은 기자 rediu@ichannela.com